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839호 칼럼

소멸위험지수

생활경제 풀어쓰기

내용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이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올해는 부산 중구와 경북 경주, 김천 등 도시 지역까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인구 절벽의 위험이 지방 대도시까지 덮칠 기세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8월 13일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제주와 세종은 1개 지역으로 계산)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89곳(39.0%)으로 2013년 첫 조사 때 75곳(32.9%)보다 14곳 늘었다. 소멸위험지수란 한 지역의 가임여성 인구(20∼39세)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수치이다. 소멸위험지수가 1.0 이하(20∼39세 여성인구가 65세 고령인구 수 보다 적은 상황)로 하락하는 경우, 그 공동체(국가·광역·기초지역)는 인구학적인 쇠퇴위험단계에 진입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만일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멸위험지수 

 

조사 결과 비수도권의 모든 '도'지역은 모두 소멸위험지수가 1.0 미만인 '소멸주의단계'에 진입했으며 비수도권 '광역시' 중에서도 부산(0.76)과 대구(0.87) 역시 '소멸주의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6월 시군구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89개로 전년대비 4곳이 증가했다.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지역은 강원 철원군(0.48),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시(0.496), 김천시(0.496) 등이다. 원도심인 부산 중구는 유동인구는 많지만 도심 공동화로 거주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 2013년 7월 기준 소멸위험 읍면동이 8.3%(204개 동 중 17곳)이었으나, 2018년 6월에는 28.4%(58개 동)으로 무려 20.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6월 기준 부산의 소멸위험지역구는 영도구(0.427), 동구(0.450), 중구(0.491) 순이다. 

 

시 지역 가운데 2013년부터 6년 연속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된 곳은 밀양·상주·문경·영천·영주·김제·남원·정읍 등 8곳이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 등은 조만간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될 가능성 크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소멸 위험이 가

장 높은 곳은 경북 의성군(0.151)이고, 16개 광역시도 기준으로는 전남(0.470)이 유일하게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작성자
강준규 동의대 경제학과 교수
작성일자
2018-08-2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839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